분류 전체보기231 React & SpringBoot를 이용한 To-do List 만들기(2) - React를 이용한 Front-end 설계(1) 들어가며 React & SpringBoot를 이용한 To-do List 만들기(1)에 이어 (2)에서는 React 설정 방법 및 구현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생성 및 Create React App 설치 node.js가 설치 안되어있다면 설치 후에 터미널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생성 후 해당 폴더에서 Create React App(React 프로젝트 생성 도구)을 설치해준다. (git을 연동하려면 git init 후 연동을 마친 다음에 설치해주도록 하자)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명"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react app을 설치해준다. 아래와 같이 나오면서 열심히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정해준 프로젝트명으로 폴더가 생겼을 것이다. 들어가주면 다음과 같이 설치가 된 .. 2022. 1. 6. React & SpringBoot를 이용한 To-do List 만들기(1) - 전체 프로젝트 구성 및 환경 설정 들어가며 현재 백엔드 엔지니어로 활동중이지만 개발은 혼자하는 것이 아니기에 협업을 위해서는 백엔드만 익히는 것이 아닌 프론트엔드에 관한 지식도 있어야 능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이 기회를 통해 React에 관하여 익혀보고자 한다. 더불어 기존에 만들었던 개인프로젝트에서도 Frontend 단에는 따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하기도 했어서 이번 기회를 통해 React를 익힐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해당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프로젝트 구성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두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1. 백엔드영역과 프론트엔드영역을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성 2. 백엔드영역과 프론트엔드영역을 나눠 각각의 프로젝트로 구성 1번 같은 경우는 하나의 프로젝트로 관리하기 때문에 한명의 관리자가 풀스택으로 웹개발을 할때 유.. 2021. 12. 27. Java - 간단한 게시판 구현을 통한 직렬화(Serialization) 이해하기(2) - 게시판 구현 및 직렬화 역직렬화 테스트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게시판 구현을 통해 직렬화와 역직렬화 테스트를 진행한다. (1)글 링크 https://sjparkk-dev1og.tistory.com/124 Java - 간단한 게시판 구현을 통한 직렬화(Serialization) 이해하기(1) - 클래스 생성과 serialVersionUID 개 들어가며 직렬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보았으니 이번에는 코드 구현을 통해 직렬화에 대해서 좀 더 이해력을 높이고자 한다. 간단한 게시판을 구현해본다. 더불어 개념 설명시 빠져있던 serialVer sjparkk-dev1og.tistory.com 게시판 만들기 해당 예제의 순서는 List 타입의 직렬화된 데이터가 있다면 역직렬화를 통해서 읽어오고 없다면 새로운 입력을 받아 직렬화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 2021. 12. 24. Java - 간단한 게시판 구현을 통한 직렬화(Serialization) 이해하기(1) - 클래스 생성과 serialVersionUID 개념 및 설정방법 들어가며 직렬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보았으니 이번에는 코드 구현을 통해 직렬화에 대해서 좀 더 이해력을 높이고자 한다. 간단한 게시판을 구현해본다. 더불어 개념 설명시 빠져있던 serialVersionUID에 대해서도 같이 정리한다. 기본 개념 링크 https://sjparkk-dev1og.tistory.com/123 Java - 직렬화(Serialization)란? (implement serializable) 들어가며 보통 도메인 객체에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을 볼 수 있다. 직렬화라는 것이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나 데이터들을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바 sjparkk-dev1og.tistory.com 클래스 생성 먼저 직렬화 시킬 객체의 클래스를 작성.. 2021. 12. 23. Java - 직렬화(Serialization)란? (implement serializable) 들어가며 보통 도메인 객체에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을 볼 수 있다. 직렬화라는 것이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나 데이터들을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바이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이고 자바에서 직렬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직렬화에 찾다보니 내용이 생각보다 방대해서 이번 기회에 직렬화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과 사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자바 직렬화란?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 또는 데이터들을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트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술이다. (바이트 데이터 -> 객체로 변환하는 역변환의 과정을 역직렬화라고 함) 자바에서는 기본 타입과 java.io.. 2021. 12. 22. Kotlin - 기본 문법 정리 들어가기 앞서 코틀린이은 2017년도에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채택된 언어이다. JVM 기반 언어이며 자바와 유사하지만 더 간결한 문법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준다. 현재 주 언어는 자바를 사용하지만 시간이 날때마다 틈틈히 새로운 기술을 익혀보고자 인프런에 코틀린 기본 강의를 듣고 기본 문법을 정리한다. 그리고 자바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더불어 정리한다. 코틀린 기본문법 패키지 정의 - 패키지 정의는 파일 최상단에 위치함(자바와 동일) - 자바와 다른점은 디렉터리와 패키지를 꼭 일치시키지 않아도 된다. 임포트 - 자바와 똑같음 함수 정의(자바와 많이 다름) - 함수는 fun 키워드로 정의함 - 제일 마지막에 리턴 타입이 나오고 생략도 가능한 경우도 있다. - 식으로 표현된 경우는 return을 생략 가.. 2021. 12. 21.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