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1 자바의 정석 - 자바 기본기 정리하기 (3)조건문과 반복문 들어가며 문제 구현에 있어서 자바에 대한 기본기의 부족함을 느껴서 오랜만에 자바의 기본 저서인 자바의 정석을 다시 피게 됐다. 그러면서 정말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되었는데 바로 예전에 잘 이해가 안가서 읽고 넘어갔던 내용들이 이제는 내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그려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동안에 시간들이 헛되지는 않았나보다. 어느 곳에서나 기본기는 중요하듯이 이번 기회를 통해 자바 기본기를 더 단단히 다지고자 챕터별로 글로 정리하면서 다시 한번 암기를 하고 좀 더 디테일하게 알아야 되는 곳은 챕터를 나눠서 자바의정석에 나온 내용 + 보강된 내용을 더해서 정리를 하고자 한다. 정리 if , else if, else 문 첫번째 if 조건문 부터 else if 문까지 순서대로 평가하며 참인 조건식을 만나면 해당.. 2021. 11. 9. 자바의 정석 - 자바 기본기 정리하기 (2)연산자 들어가며 문제 구현에 있어서 자바에 대한 기본기의 부족함을 느껴서 오랜만에 자바의 기본 저서인 자바의 정석을 다시 피게 됐다. 그러면서 정말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되었는데 바로 예전에 잘 이해가 안가서 읽고 넘어갔던 내용들이 이제는 내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그려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동안에 시간들이 헛되지는 않았나보다. 어느 곳에서나 기본기는 중요하듯이 이번 기회를 통해 자바 기본기를 더 단단히 다지고자 챕터별로 글로 정리하면서 다시 한번 암기를 하고 좀 더 디테일하게 알아야 되는 곳은 챕터를 나눠서 자바의정석에 나온 내용 + 보강된 내용을 더해서 정리를 하고자 한다. 정리 형변환 연산자 프로그램을 작성하다보면 같은 타입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간의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연산을 수행하.. 2021. 11. 8. 자바의 정석 - 자바 기본기 정리하기 (1)변수 들어가며 문제 구현에 있어서 자바에 대한 기본기의 부족함을 느껴서 오랜만에 자바의 기본 저서인 자바의 정석을 다시 피게 됐다. 그러면서 정말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되었는데 바로 예전에 잘 이해가 안가서 읽고 넘어갔던 내용들이 이제는 내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그려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동안에 시간들이 헛되지는 않았나보다. 어느 곳에서나 기본기는 중요하듯이 이번 기회를 통해 자바 기본기를 더 단단히 다지고자 챕터별로 글로 정리하면서 다시 한번 암기를 하고 좀 더 디테일하게 알아야 되는 곳은 챕터를 나눠서 자바의정석에 나온 내용 + 보강된 내용을 더해서 정리를 하고자 한다. 정리 화면출력 print() 줄바꿈 x , println() 줄바꿈 o printf() 포맷터 -> %d 정수 %x16진수 %f fl.. 2021. 11. 5.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들어가며 한번쯤은 들어봤을 두 단어는 둘이 같이 혼용해서 쓰거나 책을 보면 한권에 묶여있는 경우 등을 볼 수 있다. 두 단어의 차이와 정의를 정리해본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란 이름 그대로 자료는 담는 구조이다.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렇게 말로만 들으면 감이 안오니 예를 들어본다. 예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차이에 대한 예로 가장 많이 드는 책장으로 소개한다. 책장에 책을 꽂을때 책을 이름순으로 꽂을 건지, 연도 순으로 꽂을 건지 아니면 책을 세로로 또는 가로로 나열해서 꽂아둘건지를 결정하는 것을 자료구조라하며 알고리즘은 이렇게 꽂은 책들중에서 책을 찾을때 왼쪽부터 책을 찾을 건인지 아니면 오른쪽부터 찾을 것인지, 아니면 무작위로 찾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정리.. 2021. 11. 3. JAVA - 하드코딩을 피하기 위한 자바의 상수 만들기 들어가며 하드코딩을 피하기 위한 자바의 상수 만들기에 대해 알아본다. 하드코딩 코딩을 하다보면 다들 한번씩 하드코딩을 피하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하드 코딩이란 변수에 값을 그냥 넣는 것을 의미한다. 혼자 진행하는 프로젝트면 모를까 협업한다면 하드코딩은 무조건 피하는 것이 좋다. 값의 의미를 알 수가 없고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유지보수할때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수 상수란 항상 변하지 않는 값을 상수라고 한다. 즉, 초기화되는 순간 그 값을 바꾸지 못한다. 자바에서의 상수는 final 예약어를 사용해서 선언한다. final이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지막으로 정했으니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라고 외우면 쉽다. 상수 컨벤션 각각의 언어마다 코딩 컨벤션이 존재한다. 그안에는 네이밍도.. 2021. 11. 1. DSL 정의 동적 sql문을 사용하기 위해 Query dsl을 공부하려고 찾던 와중에 문득 dsl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해져 정의를 찾아보았다.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의 약자이며, 번역하면 도메인 특화 언어이다. 역시 약자만으로는 정확히 감이 안온다. 도메인 특화 언어를 좀 더 풀어서 설명하면 특정 영역을 타겟하고 있는 언어를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영역(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sql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sql로 웹 서버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 하다. 반면 java와 같은 언어에 경우에는 sql을 만들어 낼수도 있으며, 웹 서버도 만들 수 있다. 결론 dsl은 특정 영역을 타겟하고 있는 언어. 2021. 10. 20.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9 다음